'평창發 남북 훈풍 … 남북정상회담 물꼬
'비핵화·북미 대화' 맥락 … 난제 풀어야
▲ 문재인 대통령이 10일 오전 청와대에서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의 여동생 김여정 노동당 중앙위 제1부부장에게 김정은 위원장의 친서를 받고 있다. /연합뉴스
북핵 문제로 대결 국면으로 치닫던 남북이 평창 동계올림픽을 계기로 대화 국면으로 전환하면서 '평창 모멘텀'을 지속할 수 있을지 관심이다.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의 신년사로 시작된 남북 간 관계 회복 움직임은 김 위원장의 특사인 김여정 노동당 제1부부장을 비롯한 북한 고위급대표단의 10일 문재인 대통령 면담으로 정점을 향하고 있다. 이 자리에선 문재인 대통령에 대한 방북 초청까지 이뤄졌다.

이런 변화는 평창 동계올림픽이 계기가 됐다. 문 대통령은 지난해 5월 당선 이후부터 기회가 있을 때마다 북한의 올림픽 참가로 평창올림픽을 평화올림픽으로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위원장도 이에 화답하듯 신년사에서 "북남관계를 개선해 뜻깊은 올해를 민족사에 특기할 사변적인 해로 빛내어야 한다"고 밝히며 평창올림픽에 대표단 파견방침을 밝혔다.

이처럼 남북 최고지도자의 의지가 실리면서 순식간에 남북정상회담이 공식 거론될 정도로 관계 개선 분위기가 무르익고 있다.

그러나 남북관계는 아직은 안정적인 상황은 아니라는 지적이 많다.

문 대통령이 김 위원장의 방북 제안에 "앞으로 여건을 만들어 성사시켜나가자"며 '여건'을 언급한 것도 남북관계가 '정상회담'을 할 만큼 진전되기 위해선 선행돼야 할 일들이 있다는 의미다.

여기서 '여건'은 북핵문제의 진전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이 북한 대표단에 "남북관계 발전을 위해서도 북미 간에 조기 대화가 반드시 필요하다"며 "미국과의 대화에 북한이 더 적극적으로 나서달라"고 당부한 것도 그런 맥락에서다.

특히, 정부가 평창 동계올림픽 개막식을 계기로 북미 접촉을 주선하려 애를 썼음에도 마이크 펜스 미 부통령이 방한기간 북측 대표단과의 접촉을 사실상 피한 일은 한미 대북정책 조율의 순항을 장담하긴 이르다는 점을 보여줬다.

펜스 부통령은 방한 전인 지난 7일 일본 방문 때 "전례 없이 강력한 대북 경제 제재를 곧 발표할 것"이라고 밝힌 것을 시작으로 10일 이한 때까지 대북 압박을 누차 강조했다.

북미간 입장차가 현격한 상황에서 북미대화를 통한 비핵화 진전이 여의치 않을 경우 한미공조는 시험대에 오를 가능성이 있다.

앞서 조명균 통일부 장관은 지난달 말 한 강연에서 구체적인 타임테이블을 제시했다. 그는 "3월25일까지 한미 연합군사훈련이 조정된 상황"이라며 "그 상황, 시간 내에 북미 간 대화가 시작될 수 있도록 진입할 수 있게 견인해 나가는 것이 관건"이라고 밝혔다.

/이상우 기자 jesuslee@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