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홍색 주차라인으로 구분한 임산부 전용 주차구역에 일반 차량 점유가 늘고 있어 차량 이용 임산부에 대한 배려가 절실하다. 임산부가 거동 불편을 무릅쓰고 거꾸로 일반 주차구역을 찾아 주차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사회적 약자에 대한 보호 차원에서 일반인들의 배려정신이 필요하다.

인천은 다른 시·도보다 빠른 2012년 '임산부 전용주차장 설치ㆍ운영에 관한 조례'를 제정한 바 있다. 이에 따라 현재 공공기관 48개소가 96면의 임산부 주차구역을 설치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시간이 갈수록 그 기능이 유명무실해졌다. 인천은 상대적으로 낮은 출산율에 따라 급속한 고령화 도시로 탈바꿈하게 될 전망이다. 이런 가운데 출산 친화도시 육성에 대한 시민정신마저 사라지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도 낳는다. 공공기관과 공중이용시설에서의 임산부 전용 주차구역은 임산부의 편의를 우선한 시설이다.

일반인들이 임산부 주차구역에 주차하더라도 조례는 있으나 관련 법안이 없어 뚜렷한 제재 방법도 없다. 시설마다 임산부 주차라인의 규격도 천차만별이다. 임산부는 신체 변화로 거동이 몹시 불편하고, 과거와는 달리 만혼이 증가하는 시대적 조류에 따라 출산 건강관리에 세심한 배려가 요구된다. 그동안 지하철 임산부 지정좌석이 역차별이라는 황당한 논란이 잠시 있었다. 그러나 임산부 좌석은 양보가 아닌 '비워두는 좌석'이라는 주장이 압도적이었다. 임산부에 대한 배려는 생명을 다루는 문제여서 임산부는 안전하게 보호받아야 마땅하다. 또 임산부 주차구역을 지정하고 있더라도 일반 주차라인과 동일한 크기의 시설이 많다. 임산부가 타고 내리기에는 비좁아 차라리 없는 것보다 못하다. 무늬만 임산부 지정 주차구역인 부적합한 시설들을 찾아내 재정비해야 한다.

인구보건복지협회에 따르면 임신부 10명 중 4명은 '배려'를 경험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시는 임산부 지정 주차구역에 대한 정확한 현황을 파악하고, 사회적 약자 보호 시설의 철저한 점검을 통해 임산부 배려문화를 확산시켜 나가길 바란다. 민간시설까지 임산부 주차구역을 늘리고, 규격을 갖추지 못한 미흡한 주차면은 휠체어를 싣고 내릴 수 있을 정도의 규정된 크기로 고쳐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