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지난해 다수의 지표에서 성과를 과대 포장했다는 보도가 나왔다. 보건, 복지 분야의 사업의 목표치를 전년도 실적보다 낮게 잡는 방식으로 실적을 높인 것이다. 특히 장애인 일자리나 식생활 안전 등 시민들 삶과 직결된 분야에서도 이같은 실적 부풀리기가 예사로 이뤄졌다. 민간기업에서라도 보통 일이 아니다. 하물며 종이 한장까지도 시민의 혈세를 써가며 수행하는 공공업무에서라니, 시민들을 우롱하는 처사다. 이래서야 시민들의 실질적인 삶이 나아질 리 있겠는가. 이같은 허수 실적을 토대로 공무원들에 대한 업무평가도 이루어졌을 것 아닌가.

인천시는 지난해 일자리 사업에 583명이 참여해 122%의 달성률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당초 목표로 했던 476명을 훌쩍 뛰어넘는 성과다. 인천시의 성과 지표대로라면 장애인 일자리가 확대된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예년 실적을 살펴보면 얘기가 달라진다. 2016년 인천시의 장애인 일자리 사업 참여자는 542명이었다고 한다. 지난해 목표치 467명보다도 66명이 많은 인원이다. 전년도 실적보다 오히려 후퇴된 장애인 일자리 목표가 세워진 셈이다. 일자리 사업 참여자는 계속 증가 추세인데도 목표치는 2년째 묶어 놓았다는 얘기다. 장애인 일자리 사업은 취업이 어려운 장애인의 사회 참여와 소득 보장을 지원하기 위한 것이다. 올해 예산은 65억4900만원에 이른다.

지난해 인천외국인종합지원센터의 상담·교육 목표치는 2400명이었다. 2016년의 목표였던 4000명이나 2016년의 실적인 4436명보다 크게 낮춰 잡은 것이다. 그러고도 인천시는 지난해 외국인지원센터에서 4057명의 상담·교육 실적을 보여 169%의 달성률을 이뤘다고 밝혔다. 또 있다. 2016년 식생활 안전 집중 관리업소의 지도 점검률은 목표로 했던 90%보다 높은 107.8%를 기록했다. 하지만 지난해 인천시가 목표로 내건 점검률은 2016년과 동일한 90%였다. 지난해 금연 6개월 성공률 목표치 역시 2016년 실적 54.9%보다 낮은 52.5%였다.
시민의 세금을 쓰면서 눈가리고 아웅하는 식이다. 이런 식으로 일한다면 인천시 공무원들은 해마다 목표를 초과달성해 상을 받아야 할 것이다. 그렇다면 시민들의 삶과 인천시 정부의 행정은 따로따로라는 말이 아닌가. 관료주의의 가장 나쁜 폐단이 바로 인천에서 발호하고 있다는 얘기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