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주·강화, 남북 호재에 수혜지로 부상
기획영업 피해·과열양상 우려
▲ 강화일반산업단지 전경. /사진제공=강화일반산업단지 누리집
세기의 만남으로 꼽히는 북미정상회담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되면서 파주 등 경기북부와 강화 등 인천 접경지대에 건설·부동산 업계의 관심이 커지고 있다.

경제 제재가 풀리고 본격적인 경제 협력이 가시화되면서 부동산시장에 활력이 붙고 있지만 분위기에 편승한 '묻지마 투자', '기획부동산'에 따른 피해 발생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17일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남북 정상의 '판문점 선언'에 이어 북미 정상이 '센토사 합의'를 끌어내자 남북경협에 따른 기대심리 등으로 파주 등 경기북부 땅 주인들이 호가를 2배 이상 높이고 매물을 거둬들이면서 이 일대 땅값이 들썩이고 있다.

파주를 비롯해 경의선과 통일로 등 남북한을 연결하는 육로 주변은 물론 비교적 조용했던 연천 등 지역도 수혜지로 부상하면서 투자자들의 관심이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파주의 A부동산중개업소 대표는 "4월 남북정상회담 직후부터 토지계약이 보류되고 땅 주인들이 호가를 2배 이상 높이는 등 '눈치보기'가 계속되고 있다"며 "북미정상회담 이후 이런 분위기가 더해졌다. 땅 주인들이 매물을 거둬들이면서 실제 거래는 이뤄지지 않는다"고 말했다.

연천의 B부동산중개업소 대표는 "남북정상회담 이후 연천 땅도 가격이 오를 것이라고 기대하는 땅 주인들이 늘어나 가격 문의를 하는 땅 주인과 투자자들의 전화가 계속 오고 있어 정신이 없다"며 "남북회담 이후 파주가 제2개성공단, 판문점 일대 개발, 철도·도로 등 구체화한 밑그림이 나오자 연천에도 효과가 이어질 수 있다고 보는 것 같다. 실제 도로가 파주에서 연천으로 이어질 수도 있으니 수혜를 예상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인천의 바다 접경 '강화'도 영종~강화 다리 건설, 강화~개성 평화다리 건설 등으로 땅값이 들썩이고 있다.
영종~강화 다리 건설이 올해 중 가시화될 것으로 보이고 인천상공회의소가 조성한 강화산업단지가 가동을 시작하면서 계획이 현실이 되고 있는 것이다.

실제 강화에서는 남북 및 북미 정상회담에 이어 더불어민주당이 지방선거에 압승하면서 서해평화협력지대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대형 건설사들을 중심으로 새로 열리는 북한 건설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태스크포스(TF) 등을 꾸리는 등 대응책 마련에 나선 것도 이 같은 흐름에 동조한 것으로 풀이된다.

시평순위 1위인 삼성물산은 상무급 임원을 팀장으로 하는 남북경협 TF를 꾸렸고, 대우건설은 기존 TF를 격상해 북방사업팀을 신설했다. 북상사업팀은 팀원 2명으로 출발해 사내 잡포스팅을 통해 6~7명 규모로 조직을 확대할 계획이다.

GS건설도 최근 토목·전력 등 인프라 사업 담당자 10여명을 발탁해 대북 TF를 조직하고 정보 수집 등 경협 참여 준비에 나섰으며 대림산업 역시 내부적으로 대북 경협 TF를 신설하고 인력 배치에 들어갔다.

현대건설과 포스코건설은 아직 별도의 팀을 만들지는 않았지만 내부 영업팀 등을 통해 토목과 전력 등 인프라 부문을 중심으로 사업 참여 가능성 등을 타진하고 있다.

한편 과열 양상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파주의 C부동산중개업소 대표는 "최근 서울에서 손님이 전화로 문의해 왔는데, 파주에 3.3㎡당 250만원 하는 땅 330㎡(100평) 정도를 10명이 나눠서 투자하자는 제안을 받았는데 어떨 것 같으냐는 문의였다"며 "파주가 뜨니까 이런 식으로 영업하는 기획 부동산도 나타나는 것 같다"고 우려했다.

이처럼 투자를 권유하는 기획부동산이 등장하는가 하면 부동산시장 과열 조짐을 보이면서 전문가들은 투자에 주의해야 할 점도 많다고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박종식 공인중개협회 화성동부지회장은 "이미 단기간에 가격이 많이 오른 데다 자칫 토지가 수용되거나 개발이 불가능한 땅을 매입하는 경우에는 장기간 자금이 묶일 수 있다"며 "이런 규제를 파악하지 못하고 막연한 기대감에 투자에 나서면 위험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엄범식 농협 수원광교테크노밸리지점장은 "개발계획이 수립되지 않은 상황에서 가격이 싸다고 해서 휴전선 인근의 임야 등에 투자하는 것은 리스크가 높다는 의견이 많다"며 "파주 통일동산의 인근 토지의 경우 남북관계 경색으로 땅값이 떨어졌다가 최근에서야 10여년 전 가격을 회복한 수준이다. 섣부른 투자는 삼가는 게 좋다"고 말했다.

/김칭우·이종철 기자 chingw@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