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표기 압박에 외교갈등 우려 대응책 마련
중국 정부가 '하나의 중국' 기조를 강조하며 세계 항공업계가 독립적으로 구분하던 홍콩·마카오·대만 노선을 중국으로 표기하도록 압박하자 국적항공사들이 외교적 논란을 피하려는 대책을 내놨다.

6일 국내 항공업계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지난 4월 민항총국을 내세워 외국항공사를 대상으로 대만·홍콩·마카오를 별도 국가가 아닌 중국으로 포함한 표기를 요구하는 공문을 보냈다.

국적항공사들이 선택한 대책은 '동북아시아' 카테고리를 새로 만들고 중국·대만·홍콩·마카오를 해당 카테고리에 편입시켜 외교적 갈등 차단에 나섰다. 중국 요구를 수용할 경우 대만과 홍콩의 반발이 불을 보듯 뻔한 상황이기 때문이다.

국내 항공업계 관계자는 "동북아 카테고리로 묶으면 이용객 검색 편의성이 높고, 외교적 논란을 피할 수 있다"며 "중국 정부의 요구를 수용하는 것에는 큰 부담이 따른다"고 말했다.

새로운 카테고리 구분은 고육지책의 돌파구이자 항공권 검색과 발권 편의성을 고려한다는 것이 명분이다.
최근 대한항공과 제주항공, 진에어는 동북아시아 카테고리를 새롭게 만들었고 일본, 중국, 대만, 홍콩, 마카오를 모두 포함시켰다. 홈페이지까지 개편을 단행해 논란을 피하고 있다.

기존에 대한항공은 홍콩, 마카오를 '중국본토·홍콩·마카오 카테고리'에 넣었고, 대만은 '동남아시아' 카테고리에 편입시켜 관리했었다.

아시아나항공은 '중국대륙·홍콩·마카오·대만' 카테고리를 사용하고 있으나 조만간 동북아시아 카테고리 반영을 위해 시스템 개선을 진행하고 있다. 홈페이지에는 이미 운항노선 소개에 대만·홍콩을 동북아로 구분해 놨다.

티웨이항공은 지역으로 구분하지 않고 거리로 나눠서 구분하는 묘수로 '아시아중단거리' 카테고리에 중국, 대만, 홍콩 노선을 넣었다.

한편 이스타항공과 에어부산도 동북아 카테고리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 미국 항공사들은 중국이 민간기업의 공개 자료에 정치적 성격의 특정 용어 사용을 강요하려는 것에 반대하면서 카테고리 개편을 거부하고 있다.

/김기성 기자 audisung@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