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 등 '잇단 사고' 인근지역
주민 직접 감시단 꾸려 파악
유해 여부 객관적 정보 구축
"현 제도 바꿔 공개 의무화를"
"지자체가 알려주지 않는 우리 동네 유해화학물질 정보, 주민이 직접 찾아 나선다."

크고 작은 화학물질 취급사업장에서 배출되는 유해화학물질 정보에 대해 지자체가 '알권리'를 위한 조례 마련에 미적거리자, 주민과 환경단체가 화학물질 감시단을 꾸리는 등 '셀프 대응'에 나섰다.

<인천일보 5월21일자 1면>

도내에서는 최근 3년 73건(인명피해 78명), 월평균 2회 정도로 화학사고가 빈발하지만, 극히 제한적인 정보제공 탓에 늘 겪던 불안감을 시민 스스로가 해결하겠다는 취지다.

현재 유해화학물질 취급사업장 총 4923곳이 도내 곳곳에 산재하면서 각종 유해물질을 내뿜고 있다.

24일 평택건강과생명을지키는사람들 등 도내 환경단체에 따르면 화학물질취급시설 안전점검 및 감시활동을 위한 시민들의 자발적인 움직임이 이어지고 있다.

이는 '화학사고시 대처요령', '화학단지 배출 물질' 등에 대한 정보를 오로지 지자체에 의존만 할 수 없다는 결심에서 비롯됐다.

그동안 화학단지나 소규모 시설 인근에 사는 주민들은 이 단지에서 나오는 화학물질 등 기본정보에 대해 알지 못했다.

환경부나 지자체가 화학물질 취급량과 배출량 등 산업체들이 제공하는 기초적인 수준의 정보를 제공받아 알리는 단순한 공개시스템을 적용하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로 악취 등 유해한 화학물질 유출 의심이 돼도 확인은 늘 어려웠다.

화학물질 유출 여부를 파악할 객관적인 자료를 확보하기 어려운데다, 집단민원으로 이어지지 않는 이상 지자체도 문제해결에 적극 나서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때문에 '기업 기밀 보장'으로 묶인 화학물질 종류와 독성 인체 유해 유무 등 구체적인 정보를 의무적으로 공개하도록 하는 제도개선이 반드시 뒤따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평택건강과생명을지키는사람들은 지난 1월 시민 20여명으로 구성된 '평택 세교산단 민간 자율 감시단'을 만들었다.

감시단 참여 시민들은 앞으로 지역 화학취급시설의 배출구와 원료저장탱크를 순찰하는 등의 역할을 한다.

평택세교단지는 화학물질취급업소에서 나오는 악취 등으로 주민 민원이 끊이지 않던 곳이다.

2011년 세교중, 평택여고에서 약 400m가량 떨어진 곳에 아스콘 공장이 들어오면서 대규모 주민발발이 이어진 바 있다.

감시단의 조사는 세밀하게 진행된다.

조사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 활동 전 환경관련 연구원에서 악취 등을 측정하는 교육을 받는다.

특히 악취가 심하거나, 화학물질 유출이 의심되는 곳은 공기 등을 포집해 전문기관에 의뢰를 분석할 예정이다. 화학물질 유출 여부에 따라 보완책과 대응체계를 마련하기 위해서다.

이밖에 이천, 안양 등 환경단체들도 주민과 함께 자체적으로 우리 동네 화학물질취급업소의 실태를 파악하고 있다.

평택건강과생명을지키는사람들 관계자는 "환경문제에 시민 우려가 높아짐에 따라 감시단 활발히 운영 하겠다"며 "이를 위해 주민참여가 필수다. 많은 이들이 함께해 주길 바란다"고 밝혔다.

한편, 도내 31개 시군에서 '수원화학물질 알권리 시민네트워크'를 구성, 관련 조례 마련에 나선 수원시, 안산시, 동두천시 3곳이 전부다.

/이경훈 기자 littli18@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