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길 인천시 에너지정책과장
정부는 지속 가능한 에너지 체계를 갖추기 위해 2030년까지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로 20%를 대체하는 '재생에너지 3020 실행계획'을 발표하고 에너지 전환 정책을 가속화하고 있다. 이 계획에 따르면 정부는 지역주민들이 손쉽게 태양광사업에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계획입지제도 도입과 해상풍력 등 대규모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이러한 정부 정책에 따라 전국 지자체는 자체 이행계획을 세우고 재생에너지 사업을 발굴·추진하고 있다.

인천시는 태양광 분산형 전원 체계 구축, 해상풍력 단지 개발 등 재생에너지 사업전략과 거점별로 연료전지 발전소를 구축해 나가는 신에너지 사업전략을 통해 2030년까지 20% 이상 에너지 전환을 추진할 계획이다. 한 걸음 더 나아가 스마트그리드(Smart Grid), 수요반응(Demand Response), 에너지 프로슈머(Energy Prosumer)등 효율적인 에너지 이용체계도 동시에 추진한다.

재생에너지 전환정책! 그러나 재생에너지 사업의 현실은 만만치 않다. 막대한 투자비용, 부지확보 문제, 주민수용성 측면을 고려하면 지자체가 주도적으로 사업을 실현한다는 것이 녹록지만 않은 게 현실이다.
인천시의 경우 연간 전력사용량은 2만4515 GWh에 달한다. 산술적으로 20% 재생에너지 전환을 이루기 위해서는 재생에너지로 연간 약 5000 GWh를 대체해야 하고 이를 태양광발전으로 환산하면 여의도의 9.2배에 달하는 면적을 태양광 패널로 덮어야 한다는 계산이 나온다.

지금 전국이 태양광 열풍으로 뜨겁다. 정부의 태양광사업 지원정책에 힘입어 너도 나도 사업에 뛰어들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행태를 바라보는 시선이 곱지만은 않다. 멀쩡한 산림을 깎아내고 농지를 메워 세워진 태양광 발전설비가 곳곳에서 더덕더덕 생겨나고 있고 이로 인해 인근 주민과의 갈등과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와 더불어 환경파괴와 민원발생이 없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
인천시는 그에 대한 해답을 '스마트에너지팩토리사업'에서 찾고 있다. 이 사업은 산업단지가 많은 '인천형 재생에너지 사업모델'로 기존 에너지 블랙홀인 산업체를 에너지 생산형 체계로 전환한다는 개념을 갖는다. 더 이상의 환경훼손도 없고 민원발생, 사회적 갈등도 없는 환경성을 갖는 재생에너지 사업이라고 할 수 있다.

인천시에는 남동국가산업단지를 비롯해 14개 산업단지에 1만여 산업체가 가동 중이고 이들 부지면적은 2천111만6000㎡로 단 1%만 활용해도 30㎿급 태양광 발전설비를 구축할 수 있다. 이를 전국단위로 확대할 경우 산업단지 면적 1%에 940㎿급의 태양광 발전설비를 구축할 수 있고 더 이상의 환경훼손이 뒤따르지도 않는다.

스마트에너지팩토리사업! 현재 진행되는 재생에너지 사업 중 환경성, 수용성, 용이성이 가장 높은 재생에너지 실행계획이다. 따라서 인천시만의 지역사업에 그칠 것이 아니라 정부지원 정책 마련을 통해 전국적인 재생에너지 사업으로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