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성장 가능성 잘못 예측 '편중 정책' 실패
인천항 컨 물동량 늘어 처리시설 포화 불가피
그동안 인천지역에선 투 포트 정책을 근거로 '과거 정부의 인천항 홀대론'을 제기해왔다.

광양항만 놓고 보더라도 정부의 잘못된 정책이 인천항을 차별하고, 대한민국 항만 경쟁력과 균형을 떨어뜨렸다는 주장에 설득력이 실린다.

7일 해양수산부와 항만업계에 따르면 1997년 광양항엔 1단계 컨테이너부두가 들어섰으며, 2007년까지 3단계 1차 컨테이너부두가 완성되면서 광양항은 연간 540만개의 컨테이너를 처리할 수 있는 시설을 갖추게 됐다.

정부가 광양항의 성장 가능성을 점치고 과감한 투자를 아끼지 않은 결과다.

그러나 광양항은 정부의 기대에 부응하지 못한다.

2010년 국내에서 두 번째로 200만TEU를 돌파했으나, 이후 20년 가까이 300만TEU는커녕 240만TEU의 문턱조차 넘지 못하는 실정이다.

인천항이 2013년 200만TEU대 고지를 밟은 뒤 불과 4년 만에 300만TEU 시대를 연 것과 비교해 광양항의 컨테이너 물동량 성장판이 너무 일찍 닫힌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지난해 인천항의 컨테이너 물동량은 304만TEU로 같은 기간 223만TEU를 기록한 광양항과의 격차를 81만TEU까지 벌려 놨다.

광양항이 부산항 다음 전국 2위 규모의 컨테이너 처리시설을 갖추고도 물동량이 없어 시설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자, 정부는 결국 특단의 조치를 내린다.

컨테이너부두 16개 선석 가운데 4개 선석을 일반부두와 자동차 전용 부두로 전환한 것이다.

광양항은 컨테이너부두가 12개 선석으로 감소했음에도 연간 컨테이너 하역 능력은 384만TEU로 인천항에 비해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인천항은 지난해 인천신항 1-1단계가 전면 개장했는데도 하역 능력은 321만TEU에 불과한 상황이다.

인천항이 올해 물동량 목표치인 330만TEU를 달성한다고 가정하면, 인천항 전체 컨테이너 처리시설은 포화 상태에 접어들 수밖에 없다.

이는 과거 정부가 광양항의 성장 가능성을 터무니없게 높게 책정한 반면, 인천항의 성장세는 축소·왜곡했다는 것을 여실히 보여주는 대표적 사례로 꼽힌다.

강동준 인천연구원 연구위원은 "과거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이 인천항 물동량 예측치를 실제 물동량이 늘어나는 것에 비해 낮게 예측한 측면이 있었다"며 "항만 균형 발전 차원에서 정확한 물동량 수요 산정으로 인천항 개발이 적기에 이뤄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꼬집었다.

한편 '인천신항 1-2단계 컨테이너부두 개발사업 추진 전략 수립 연구용역'을 수행 중인 KMI는 최근 인천항 물동량 추정치와 하역 능력을 비교했을 때 2025년 77만TEU의 시설 부족이 예상되며, 2025년까지 신항 1-2단계를 공급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을 인천항만공사에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박범준 기자 parkbj2@incheonilbo.com


관련기사
[인천 선거정책 어젠다] 5 신항 1-2단계 확장 개발 시급 인천항은 뼈아픈 상처를 갖고 있다. 전남 광양항을 부산항과 함께 국내 2대 항만으로 육성하는 '투 포트(tow-port) 정책'으로 입었던 상처다. ▶관련기사 7면 과거 정부는 두 항만을 편애하면서 인천항 발전은 외면했다. 그 탓에 이미 수년 일찍 태어나야 했던 인천신항의 완공 시기가 2015년으로 한참 늦춰졌다. 연간 210만개의 컨테이너를 처리할 수 있는 신항이 가동되자, 국내 컨테이너 물동량 순위 2위였던 광양항이 3위로 내려앉고 그 자리에 인천항이 올라섰다. 그간 정부의 편파로 왜곡된 국내 항만산업이 바로잡히는 순간이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