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광석 인천대 글로벌 물류학과 주임교수
항만배후단지는 항만을 중심으로 주변에서 항만물류를 활성화하는 데 주도적 역할을 하는 곳이다. 여러 나라 또는 지역으로부터 많은 종류의 화물들이 컨테이너 및 용기에 담겨 운송·집화·하역·분류·포장·가공·조립·통관·보관·판매정보처리 등 물류활동을 활발하게 벌이는 지역이다. 특히 인천의 경우 수도권 산업단지와 연계성, 그리고 항만과 공항 관련한 수출입 화물 처리 등으로 배후단지 중요성이 매우 강조되는 지역이다

세계는 글로벌 분업화하고 있다. 항만은 단순물류거점에서 제조가 포함된 복합물류거점으로 탈바꿈한다. 선진외국 항만들은 항만 인근에 물류·제조기업을 집단적으로 설치하여 배후에서 유통·조립·가공·포장·무역·전시 등을 종합적으로 제공하는 공간으로 항만배후지가 기능하도록 조성하고 있다

그런데 인천항의 항만배후지 현실은 어떤가? 그저 단순한 화물운송이나 하역작업, 창고보관 기능에 머물고 있을 뿐만 아니라 주거기능에 둘러싸여 확장의 어려움과 민원에 시달리고 있다. 항만 배후지는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공간이어야 한다. 선박수리도 하고, 매매·관리·선용품 판매·급유·금융·법률컨설팅 등 해운분야에서 나오는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공간이어야 한다. 해양환경, 보안첨단기술, 항만설계 및 컨설팅 등 항만 관련산업과도 연계되어 종합적인 부가가치를 창출해야 한다. 불행히도 우리나라 항만 대부분은 부가가치 창출보다는 하역이나 보관, 내륙운송을 주로 한다. 그것도 컨테이너 터미널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와 경쟁관계에 있는 상하이, 싱가포르, 로테르담항은 터미널과 해운항만관련 산업 등 모든 분야에서 골고루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있는 구조를 이룬다

인천항만공사(IPA) 자료에 의하면 신항 1단계(214만4000㎡), 아암물류2단지(262만5000㎡), 북항배후단지 북측(17만7000㎡) 부지가 올해 10월부터 2025년까지 순차적으로 신규 공급된다. 부두별 주요 취급화물에 따라 성장 가능성이 높은 업종을 선정하고, 맞춤형 비즈니스 모델을 갖춘 특화 배후단지로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필자는 새로 조성되는 항만배후부지는 항만 관련 중소업체들의 물류경쟁력 강화에 기여되도록 제공되어야 함을 강조하고 싶다.
인천항은 과거부터 배후지 부족으로 수도권의 경쟁력 있는 물류기업들을 유치하지 못했으며, 미주·유럽노선 미개설로 화물집화 시장여건을 조성하지 못했다. 이제는 항만배후지가 조성되었고 컨테이너도 지난해 303만TEU를 처리하여 여건이 좋아졌다. 그동안 오지 못했던 그들이 인천으로 올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과거에도 중소기업에 기회를 주었다고 하지만 조건이 까다롭고 진입장벽이 높아 기존 항만창고를 소유하고 있는 업자들에게 또 하나의 새로운 창고를 선물하지 않았던가 말이다.
그동안 인천항을 통해 글로벌물류를 수행하던 수도권 중소기업들과 인천의 건실한 중소기업들이 함께할 수 있는 마당이 조성되어 다양한 소규모 화물이 모여 대형화물로 변모되는 새로운 모습의 항만배후지를 이뤄야 한다.

어느 지역을 경쟁력 있게 발전시키려면 시장경제논리도 중요하지만 정책적인 지원과 배려는 더 중요하다. 인천항만공사와 인천시, 인천항만청은 수도권의 물류기업을 유치하기 위한 준비는 되어 있는지 묻고 싶다. 기업유치는 가격경쟁력이다. 그런데 인천항만공사는 올해 말부터 공급하는 신항 배후단지 1구역 임대료를 ㎡당 2000원에서 2600원으로, 인천 남항 배후단지 임대료는 ㎡당 1337원, 북항 배후단지는 1507원으로 정했다. 부산항(482원)과 광양항(258원)보다 10배~5배 비싸다. 이런 구조로는 수도권에서 경쟁력 있는 물류기업을 유치하기 어렵다.
일반 항만배후단지의 경우 항만공사가 징수하는 사용료·임대료 세부 규정에 따라 항만공사가 해수부와 사전 협의 후 확정한다. 부산항은 50%, 광양항 배후단지는 100%의 정부 재정지원으로 낮은 임대료 책정이 가능하다. 인천시와 인천항만청의 지원의지와 노력이 없다면 누가 관심을 갖겠는가.

인천본부세관 자료에 의하면 인천공항과 인천항을 통한 수출은 604억달러, 수입은 1346억달러로, 총 무역액은 전년대비 25.2% 증가한 1950억달러를 기록했다. 전국에서 인천의 무역 비중이 18.8%에 이른다. 이렇게 국제무역에서 중요한 인천이 국가로부터 홀대를 받고 배후부지 지원도 매우 옹색하다. 형평성 있는 국가항만정책 실현 차원에서 인천항 배후단지조성에 타 항만 수준의 국가재정 지원을 촉구한다. 또한 외국도시와 자유무역지역 지정을 통해 국제물류경쟁력이 확보되도록 행정적 지원도 촉구한다. 김영춘 해수부장관이 지난해 6월 발표한 인천항이 대중국의 중추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약속이 지켜지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