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공항 인근 부천시 고강동 주민들의 고통은 심각한 수준이다. 긴 세월 항공기 소음에 시달리고 있어 삶의 질조차 황폐해졌다. 정부와 공항 측이 방음창 설치 등 이런저런 대책을 마련해 시행해오고 있지만 시시각각 들려오는 항공기 소음을 벗어날 수는 없는 상황이다.

항공기 소음은 항공기 엔진 작동에 따른 소음과 동체가 공기가 만나 일으키는 마찰에 따른 소음이 대부분이다. 이런 소음의 세기나 주파수 등은 항공기 기종과 크기, 엔진 형식에 따라 다르다. 하지만 소리가 크든 작든 고주파음이 많이 포함되어 있으며, 음향출력이 크고 널리 퍼져나가는 지향성이 매우 강하다. 이 때문에 소음에 따른 인근 주민들의 피해와 고통이 큰 반면 저감 대책 수립은 쉽지 않다.

이 때문에 미국이나 일본, 네덜란드 등 여러 나라들은 고강동과 비슷한 수준인 소음영향도(WECPNL) 95미만 수준인 지역 주민들까지 이주 대책을 마련해 소음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게 지원하고 있다.
하지만 고강동의 경우 주민들이 수십 년 세월 일상적인 항공기 소음에 시달리면서 정신적·육체적 피해가 큰데도 방음창 설치나 TV수신 장애 대책, 냉방지원 등 미봉책으로 일관하고 있다. 정작 중요한 항공기 소음으로 인한 주민들의 피해, 즉 수면 장애 등 낮은 수면의 질, 난청으로 이어지는 청력장애, 소변 량 증가 등 이상 현상, 집중력 저하 등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은 전혀 내놓지 않거나 의지조차 없는 것으로 볼 수밖에 없다. 이주대상 지역인 1종 구역조차 전체 소음대상 면적의 일부인 활주로 주변뿐이라는 것도 문제다. 이러니 2종과 3종으로 지정된 고강동 주민들로서는 분통이 터질 일일 수밖에 없다.

사실 주민들의 입장에서 보면 정부와 공항은 일방적으로 주민들에게 해를 끼친 가해자 쪽이다. 항공산업 육성이니 국가인프라 구축 등은 거창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주민들이 일방적으로 희생양이 될 수는 없다.
그렇다면 정부는 자신들이 '해 줄 수 있는 조치'를 일방적으로 내놓을 일이 아니다. 장시간 일방적으로 피해를 당하고 있는 주민들이 '원하는 것'에 귀를 기울이고, 최선을 다해 오래된 고통을 덜어줄 수 있는 방안을 마련·시행해야 한다. 그게 국민에 대한 나라의 도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