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초부터 불거져 나왔던 한국지엠 철수설이 새해들어 다시 불안한 낌새를 보인다고 한다. 지난해 말 군산공장 가동이 중단된 데 이어 부평공장도 사무직 감소, 생산량 축소 등이 진행됐기 때문이다. 연말에는 사내 하청업체 소속 비정규직 노동자 65명이 사측 인소싱 정책으로 해고통보를 받았다고 한다. 철수설이 다시 모락모락 연기를 피우게 하는 정황들이다. 한국지엠의 그 뿌리는 한국 자동차 산업의 태동으로 이어지는 인천의 대표기업이다. 지역사회는 그간 한국지엠이 어려운 경영환경을 극복할 수 있도록 가능한 모든 역할을 모색해 왔다. 새해에는 노사 모두 심기일전의 자세로 위기를 딛고 일어서 지역경제의 큰 축이 되기를 기대한다.

한국지엠의 위기는 그간 큰 비중을 차지했던 수출 매출액의 급감에서부터 비롯됐다. 2016년과 2017년 연속으로 고전을 면치 못해 누적적자가 2조원을 넘어섰다. 모기업인 글로벌 지엠이 수출 매출 비중이 높은 한국지엠에 불리한 구조조정을 벌이고 있는 상황도 악재다. 현재 한국지엠 부평 엔진공장은 30%, 부평2공장은 50% 정도의 가동률에 그치고 있다. 지난해의 철수설은 산업은행의 지분매각 비토권 종료에 따른 것이었다. 비토권이 종료됨에 따라 한국지엠이 철수를 결정해도 이를 막을 방법이 없게 되기 때문이다. 한국지엠의 2017년 임금협상이 해를 넘기게 된 것도 '미래발전 전망'을 놓고 노사가 타협점을 찾지 못한 때문이다. 노조는 한국지엠과 글로벌 지엠이 공격적인 해외 마케팅을 하지 않고는 미래를 장담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회사측은 올해 임단협에서 미래발전 전망을 논의, 신차 투입 등 수익성을 강화해 지속가능한 미래를 확보하겠다는 입장이다.

만의 하나라도 철수설이 현실화된다면 당장 인천의 일자리부터 문제다. 인천본사와 부평공장의 정규직만도 8500여명에 이른다. 700여 협력업체에도 2만여명이 종사하고 있다. 원칙적으로는 한 기업의 경영의사 결정을 외부에서 간섭할 수는 없다. 그러나 신진공업사 이래 80여 년간 인천과 함께 해 온 한국지엠의 위기를 지켜 볼 수만은 없다. 노와 사, 지역사회가 힘을 합해 한국지엠의 미래를 열어가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