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 전 '경비·보안업무 일원화'로 비정규직 채용구조 구축 … 책임론 확산
인천항보안공사(IPS)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이 순탄하게 진행되지 못하게 된 것은 정부의 '인천항 경비·보안 업무 일원화'로 IPS 구조가 '인천항 전체 경비·보안 업무 전담-비정규직 대거 채용'으로 굳어졌기 때문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20일 인천 항만업계에 따르면 해양수산부는 2007년 '인천항 경비 체제 개편 방안'을 당시 IPS 설립을 추진 중인 인천항만공사에 전달했다.

외항 민간 부두운영사들이 자체 해결하는 경비·보안 업무를 IPS가 맡도록 해 기존 내항 업무를 포함한 인천항 경비·보안 업무 전체를 일원화한다는 게 골자였다.

이는 현재 IPS가 외항으로 분류되는 북항과 남항, 신항 소재 민간부두 14곳의 경비·보안 업무를 2008년부터 10년 가까이 수행하게 된 계기가 됐다.

이 탓에 IPS는 외항 민간 부두운영사와 1년 단위로 경비용역 계약을 맺으면서 동시에 외항 근무자로 기간제 형태의 특수경비원을 채용할 수밖에 없었다.

외항 경비용역 계약과 '공동 운명체'로 묶인 특수경비원들이 정규직으로 전환되지 않을 경우 근로계약이 종료돼 실직할 위기에 직면한 것도 이 때문이다.

그러나 해수부는 올 8월 'IPS 비정규직이 정규직 전환 대상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고용노동부에 질의한 이후 사실상 이 문제를 수수방관하고 있다.

이런 상황 속에 해수부가 IPS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문제에 책임 의식을 갖고 해결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공공운수노조 인천항보안공사지부 관계자는 "해수부와 모회사인 인천항만공사가 예산 문제로 IPS 특수경비원들의 정규직 전환 문제를 외면하고 있는 사이 국경 보안을 위해 헌신한 젊은 노동자들은 새로운 일자리를 찾아야 하는 안타까운 상황에 내몰리고 있다"며 해수부에 대안 마련을 촉구했다.

해수부 관계자는 "IPS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문제와 관련해 해수부에서 공식적으로 추진하는 사항은 아무것도 없다"고 밝혔다.

/박범준 기자 parkbj2@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