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이 1주일 앞으로 다가왔다. 하지만 연고를 떠나 '수능 원정'에 오르는 수험생들의 심정은 편하지 않다. 인천은 지난해 영종지역 공항고와 영종고에 수능시험장을 신설해 이 지역의 국제고 등 4개 고교 수험생들이 해당 지역에서 수능을 치를 수 있었다. 그러나 아직도 옹진군 지역의 백령고, 대청고, 연평고, 덕적고와 강화군 서도고 수험생 60명은 수능일 전부터 육지로 이동해야 하는 불편을 겪고 있다.

오는 16일 치르는 2018학년도 수능은 지난해보다 1만2460명이 줄어든 59만3527명이 응시했다. 인천도 전년대비 589명이 감소한 3만546명이 수능원서를 제출했다. 대학 학령인구가 점차 줄어들고 있는 현상이다. 수능은 지난 1993년 8월 20일 처음 치러진 후 24년이 지났지만 일부 도서벽지의 수험생들은 불평등한 교육과정에 따라 학업성취에서도 불이익을 초래할 수 있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인천뿐만 아니라 부산과 전남 도서지역에서도 수험생이 적다는 이유로 원정 수능이 개선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 '1개 시험장에 특정고교 비율이 40%를 초과해서는 시험부정 행위 등을 예방할 수 없다'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의 시험장 설치 지침을 지키기 위한 것이라면 매우 행정편의적인 발상이 아닐 수 없다. 시험지 배송과정의 보안과 안전 등은 얼마든지 행정당국의 노력으로 극복할 수 있는 일이기도 하다.

교육의 전반에서 평등의 관점은 시대의 변화에 따라 변모해 왔다. 제도의 뒷받침으로 교육기회의 평등을 달성했다 하더라도 학업성취에서의 불평등을 묵인할 수는 없는 일이다.

농어촌학생 특별전형, 지역균형선발제 등이 교육결과의 평등을 지원하는 제도로 도입된 것처럼 현재 대입 전형의 핵심인 수능에서도 도서벽지의 수험생들에 대한 평가 조건이 동등한 환경으로 제공돼야 마땅하다. 특히 지역특수성에 따른 원정수능은 우연적 불평등이므로 공적 조치를 통해 보상돼야 한다. 따라서 대한민국 수능 평가에도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을 적용하고, 하루빨리 원정 수능의 불편과 불평등을 개선하는 교육당국의 적극적인 실천이 있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