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생·뉴딜 연계 '스마트 도시' 만든다
시·인천대·포스코건설·지멘스 '산·학·관 공동 협력 업무 협약'
개항창조도시·강화군청 주변 등 12곳 '테스트 베드' 구역 선정


인천은 신도심과 원도심의 격차로 몸살을 앓고 있다. 송도와 청라, 영종을 중심으로 마천루를 형성한 신도심에 비해 원도심은 낙후됐고, 공동화로 시민이 꺼리는 곳이 됐다. 신도심에만 적용된 스마트 시티 기술이 원도심까지 확대된다. 원도심 재생사업으로 산·학·관이 머리를 맞댔다. 최근 정부에서도 원도심 재생을 위해 스마트 시티 기술 구현에 공을 들이고 있다. 인천 원도심은 정부가 정한 도시재생 활성화 지역과 활성화 계획이 마련 중인 곳까지 모두 12곳을 대상으로 보건의료복지 등 11개 분야에 걸쳐 원도심형 스마트 시티 모델 기반이 마련된다.


"원도심 재생을 위해 스마트 시티 기술을 접목시키자."
지난 2016년 6월 발표된 '2025 인천 도시재생 전략계획 보고'에서 발표된 인천 원도심 쇠퇴 현황은 충격으로 다가왔다.
인천 전체 131개 읍·면·동 중 무려 83곳(63.4%)이 원도심 쇠퇴에 직면하고 있다는 것으로, 인천 인구 153만명이 이 곳에 거주 중이다. 인천 인구의 53.1%에 해당하는 수치다.
신도심과 원도심 격차 해소는 인천만의 문제가 아니다. 전국에 걸쳐 발생되고 있고, 정부가 이 문제 해결에 발벗고 나섰다. 인천은 '인천형' 원도심 재생사업 프로젝트에 착수했고, 그 첫걸음이 스마트 기술을 적용한 사업이다.
인천시는 전국 최초로 30만㎡ 이상 원도심에 스마트 시티 기술을 적용한 재생사업을 선언했다.
지난 14일 시와 인천대, ㈜포스코건설, 지멘스㈜는 '원도심 스마트 시티(캠퍼스) 구축 산·학·관 공동 협력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스마트 시티가 화두이다. 국내 인천, 부산, 서울, 세종시 등에서 지능형 기반시설 위주의 신도시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하지만 스마트 시티 기술이 신도시 건설에만 머물러 있는 상태다. 종합적인 원도심형 스마트 시티 구축 사례는 아직 국내에 없다.
정부를 비롯해 전문 기관에서 원도심 재생 솔루션을 스마트 시티 기술에서 찾기 위해 머리를 맞댔다.
시는 선제적으로 원도심에 기존의 전면철거 방식의 도시정비사업 방식을 탈피하고, 저출산 고령화와 지역 고유문화를 바탕으로 스마트 시티 기술을 활용한 도시재생사업을 추진한다.
이를 위해 인천대와 세계 최고 수준의 에너지 및 인프라 구축 기술을 보유한 글로벌 기업인 지멘스, 세계 최고 수준의 신도시 개발 기술을 보유한 포스코건설과 함께 4차 산업혁명 신성장 플랫폼 마련과 원도심 스마트 시티 구축을 위한 첫 단추를 끼운다.
대상은 지난 2016년 국토교통부가 선정한 인천개항창조도시와 강화군청 주변을 비롯해 활성화 계획이 수립 중인 10곳이다.
중·동구 일대 인천개항창조도시와 강화군청 주변은 대표적 원도심으로 불과 십 수년전만 해도 지역 중심 역할을 했지만 이제 그 영광을 내줬다. 연안부두어시장과 중구 신흥동 일대, 동구 송림오거리 주변, 남구 제물포역 주변, 부평구 부평역 일대, 서구 SK석유화학삼거리 주변, 남동구 만부구역 주변, 부평구 부평아울렛 주변, 서구 가재울마을 주변, 강화군 교동 대룡시장 주변도 마찬가지다.
시는 이 12곳을 '테스트 베드' 구역으로 선정하고 원도심에 적합한 서비스 모델을 개발하기 위한 밑 작업으로 중이다. 11대 분야는 보건의료복지, 문화관광, 교육, 환경, 행정, 교통, 방범방재, 시설물 관리, 물류, 근로고용, 기타 등으로 원도심형 스마트 시티 모델의 기반을 마련했다.
시는 이들 기관과 실무추진단을 구성했다. 내년부터 기술 연구개발과 동시에 지멘스와 포스코의 기술을 활용해 에너지 효율화 등 인천 원도심의 스마트화를 진단·분석한다.
인천형 원도심 스마트 시티 선도사업을 우선 시행하고, 향후 단계별로 사업을 확장해 나갈 방침이다. 여기에 덧붙여 도시재생 뉴딜사업 등 정부 공모사업을 연계하고, 스마트 시티 기술 국책연구기관 및 국가 공기업 등과 협력체계를 구축하여 실행력을 높여 나갈 계획이다.
또 시는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밑그림 단계부터 원도심에 특화된 스마트 시티 계획을 심도있게 수립한다는 복안을 세우고 원도심의 여성·아동·노인·장애인 등 4대 약자 친화형 도시를 건설하고, 공공 주도가 아닌 민·관 협력으로 IoT 기반의 생활 밀착형 서비스를 원도심 주민들에게 제공해 글로벌 도시로서의 위상을 높일 방침이다.

/이주영 기자 leejy96@incheonilbo.com


30만㎡ 이상 원도심에 IoT 기반 서비스 제공 … 전국 최초

인천형 원도심 스마트 시티 구축 산업이 발표됐다.
스마트시티는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해 도시가 해결해야 할 과제를 성공적으로 해결하는 도시로 도시 기능의 효율성을 극대화해 공공서비스의 질을 높이는 도시'로 정의된다.
인천시는 지난 2007년부터 스마트시티 정책을 추진해 송도, 청라, 영종 경제자유구역을 스마트 시티로 건설했다. 이 지역은 통합운영센터를 구축해 교통, 방범, 환경 등 5대 서비스에 스마트 시티 기술을 적용해 가동 중이다.
시는 "스마트 시티 기술이 신도시 건설에만 머물러 있어 원도심과의 격차는 벌어졌고 원도심 공동화 등 도시 문제가 가속화됐다"는 분석이다.
이에 전국 최초로 30만㎡ 이상 원도심에 스마트 시티 기술을 적용하는 게 목표다.
인천형 원도심 스마트 시티 구축에 참여하는 산·학·관은 시를 비롯해 인천대, 지멘스, 포스코 건설이다. 인천대는 3개 기관과 함께 스마트 시티 연구소를 운영하고, 지멘스와 포스크건설을 스마트 시티 기술을 활용해 원도심형 기술을 개발·업그레이드 할 방침이다.
대상지역은 12곳으로 정해졌다. 국토부가 정한 곳 2곳과 대상 계획 중인 10곳으로 11대 분야에 걸쳐 여성·아동·노인·장애인 등 4대 약자 친화 도시로 구축할 계획이다.
최근 업무협약 후 올해 말까지 산·학·관 거버넌스 추구에 이어 정부에 도시재생 뉴딜사업 등 정부 공모사업을 연계해 스마트 시티 기술 국책연구기관인 한국건설기술연구원과 한국토지주택공사 등 국가 공기업과 협업해 실행력을 높일 예정이다.
원도심 스마트 시티 구축 후 기대효과는 크다.
전국 최초로 시도되는 만큼 어려움이 뒤따르지만 스페인 등의 사례로 성공 후 장밋빛을 엿볼 수 있다.
스페인 바르셀로나는 IoT와 에너지 자립, 클라우드 빅 데이터를 활용해 교통, 관광, 환경 등에 통합 시스템을 구축했고, 4500여 이상의 기업 입주와 약 5만6000명의 고용 창출 효과를 거뒀다.

/이주영 기자 leejy96@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