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부, 수심 확보안 수립 뒤 '팔짱' … 업계 "경쟁력 높일 유일책" 지원 촉구
▲ 인천항 제1항로를 뱃길로 둔 북항 일대 모습. /사진제공=인천항만공사
인천항 제1항로가 경쟁력을 잃고 있다.

수심이 얕은 탓에 인천항 뱃길을 기피하는 선박이 늘고 있다.

이런 현실을 잘 아는 정부는 수심 확보 계획안을 수립하고도 국비 지원 요구엔 수수방관하는 모습이다.

18일 인천항발전협의회에 따르면 해양수산부가 지난해 9월 확정·고시한 '제3차 전국 항만기본계획 수정계획(2016~2020년)'엔 인천항 제1항로(팔미도~북항) 수심을 12m에서 14m로 늘리는 증심 준설 계획이 담겼다.

해수부는 이 계획에서 제1항로 통항 선박의 대형화 추세에 발맞춰 인천항 항로를 개선하겠다는 의지를 내비쳤다.

이후 1년이 흘렀지만 여전히 이 항로엔 수심이 14m에 한참 못 미치는 지점이 54곳이나 존재한다.

북항 유류부두 입구 수심은 9.1m에 불과하다.

이 부두엔 16만t급 대형 유조선이 2주에 한 번 꼴로 오가는데 수심 제한 탓에 선박에 실은 화물 일부를 울산항에 하역한 뒤 인천으로 올라가는 실정이다.

북항 일반부두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일반부두의 경우 진입 항로와 부두 전체 수심이 대부분 8.2~9.9m 수준이다.

특히 항로 중앙에 8.2m 저수심이 존재해 대형 선박이 입항을 기피하고 있다는 게 협의회의 설명이다.

인천항 뱃길의 통항 흐름이 원활하지 않다는 것은 통계에서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지난해 선박 입출항 통계를 보면 유류부두 입출항 선박 961척 가운데 394척이, 일반부두에선 2433척 중 673척이 각각 '흘수 제한선'이었다.

흘수는 배가 물 위에 떠 있을 때 물에 잠겨있는 부분의 깊이를 말한다. 흘수 제한을 받은 선박은 물때를 기다려야 한다.

물때를 놓치는 등 최악의 경우엔 수익을 한 푼도 얻지 못하고 되레 손실을 볼 수 있다.

결국 수심을 14m로 확장하는 준설공사가 인천항 제1항로의 경쟁력을 높이는 유일한 해결책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귀복 인천항발전협의회장은 "인천항 제1항로 준설 공사비는 1000억원 이상으로 수역을 관리하는 인천항만공사가 홀로 부담하기엔 금액이 너무 크다"며 "국가 인프라를 관리해야 할 의무를 지닌 정부가 직접 재정을 투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인천항발전협의회, 인천상공회의소, 인천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등 17개 단체는 이날 공동성명을 내어 정부가 인천항 제1항로 계획수심을 조속히 확보해 달라고 촉구했다.

/박범준 기자 parkbj2@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