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의 교통정책이 너무 근시안적이다. 극심한 교통체증에 따른 교통혼잡비용은 치솟고 있는데도 교통정책은 앞을 제대로 내다보지 못한다. 갈수록 혼잡해지는 교통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현재와 내일을 반영하고 예측할 새로운 교통정책이 절실하다. 미래지향적 교통대책이 필요하다는 얘기이다.

물론 미래를 내다보는 일은 무척 어렵다. 근본적으로 불확실성이 깔려 있기 때문이다. 형편이 어떻게 바뀔지, 상황이 어떻게 급변할지 전문가들도 예측하기 힘들다고 한다. 하지만 시민들의 편안함과 행복지수를 끌어올리려면 종합적이고 계획적인 교통정책을 짜야만 한다. 교통혼잡과 관련해 나라에서 막대한 예산을 쏟아부으며 고속도로와 철도 등의 교통망 확충에 나서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교통정체로 인한 사회적 비용(시간, 연료 소비 등)을 뜻하는 교통혼잡비용은 인천의 경우 2015년 3조57억원으로 7대 특·광역시의 총 혼잡비용(21조2929억원)의 14.1%를 차지한다. 비용도 그렇지만 문제는 해마다 교통혼잡비용이 크게 늘어난다는 점이다.

인천만 해도 2010년 2조4624억원에서 약 22.1%p 증가했다. 매년 1000억여원의 교통혼잡비용이 추가로 발생하고 있는 셈이다. 각종 도로에 엄청난 돈을 낭비하는 꼴이니, '예측이 가능하도록' 교통정책을 다시 세워야 마땅하다. 그러지 않으면 갈수록 길바닥에 많은 비용을 지불해야 하는 악순환의 고리를 끊지 못한다.

우선적으로 살펴야 할 일은 어떻게 하면 대중교통을 활성화하느냐는 문제다. 그러려면 먼저 시내외버스와 지하철·전철 등을 통해 시민들이 얼마나 편안하게 오갈 수 있느냐가 핵심 사항이다. 인천시의 2015년 교통수단 분담률을 보면 승용차가 45.9%로 대중교통(버스+지하철) 39.5%보다 높았다. 반면 인천보다 승용차 등록대수가 훨씬 많은 서울의 대중교통 분담률은 60.4%에 달했다.

인천에 비해 서울시민들이 대중교통을 즐겨 이용한다는 말이다. 여기에는 물론 촘촘히 짜인 서울의 지하철망이 한 몫을 함은 두 말할 나위 없겠다. 인천은 아직 서울에 못 미치지만, 그래도 인천만이 갖고 있는 범위 안에서의 슬기가 필요하다. 새로운 교통정책은 인천뿐만 아니라 나라 전체의 화두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