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선행 道 인권센터장, 인권침해 상담·권고 담당
90년대 말부터 시민사회단체 활동으로 내공 쌓아
"경기도의 의미있는 발걸음에 함께할 수 있어서 뜻 깊게 생각합니다. 도민들 사이에서 피어나는 지역 인권문화를 위해 끝없이 노력하겠습니다."

허선행(46) 경기도 인권센터장은 지난 6월 센터로 온 후 지역 인권문화를 위한 바쁜 나날을 보내고 있다. 30일 만난 그는 젊은 나이의 열정을 보이는 인권활동가였다.

허 센터장의 시민단체 활동은 지난 90년대 말로 올라간다. 민주주의를 통해 공동체 사회를 꿈꾸는 열린시민사회연합은 시민단체 활동의 첫걸음이었다.

"공동체 사회를 이루는 것이 민주주의의 목표라는 생각에 시민단체 활동을 시작했다. 민주주의는 제도화가 끝이 아닌 시민들의 참여를 이끌어내야 한다. 민주주의 심화에 기여하고 싶었다."

민주주의가 제도화 됐지만 90년대 말에도 민주주의의 '참여정신'은 부족했다. 그에게 있어 민주주의의 목표는 공동체 구성원들이 직접 참여해 민주주의를 이끌어나가는 사회였다.

시민사회단체 활동은 민주주의의 본질로 다가가는 걸음이었다.

"공동체 형성을 위한 시민사회 단체활동이 인권운동이라고는 할 수 없지만, 모든 시민사회단체는 국민의 인권과 권리를 생각하는 점에서 시작되기에 인권에도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그의 인권에 대한 관심은 2000년대 중반 유엔과 국제 인권단체를 중심으로 제기된 북한인권문제를 직면하는 방식으로 드러났다. 지난 2006년 북한인권정보센터로 자리를 옮기고 그의 인권활동은 날개를 펴기 시작했다.

북한인권정보센터는 북한의 탈북민, 자료수집을 통해 북한인권문제를 조사하고 문제해결을 촉구하는 단체였다.

그가 많은 탈북민과 만나며 들은 북한의 인권실태는 일반인들의 생각보다 심각했다.

"2000년대 중반 국제적으로 문제제기가 시작됐지만 우리나라에서는 그 실상이 구체적으로 나오지 않았다"며 북한주민의 인권실태를 우리나라에 알리는 활동을 진행했다.

그가 인권정보센터에서 활동하는 동안 세상은 바뀌어 갔다.

인권제도가 하나 둘씩 정착되기 시작했고, 국가는 먼저 나서서 국민의 인권을 생각하는 나라도 변했다.

인권을 제기하는 것이 아닌 인권을 퍼트리고 문화를 정착시켜야 하는 사회가 온 것이다.

그가 이번에 자리를 옮긴 도 인권센터는 도민 인권침해 사례를 접수 및 상담, 결정 및 권고업무를 담당하게 된다.

도 및 그 소속 행정기관, 산하기관, 사무위탁기관, 각종 복지시설의 인권침해나 차별행위를 인지한 개인 및 단체는 도 인권센터(031-8008-2340)로 연락하면 된다.

허 센터장은 "인권제도가 정비됐지만 시민들의 마음 속에 인권이 자리잡기 위해서는 주민과 가장 가까운 지방자치단체에서부터 시작하는 방법이 최선"이라고 말해 앞으로 경기도 인권센터의 역할이 기대된다.

/김중래 기자 jlcomet@incheonilbo.com